목록분류 전체보기 (9)
CAI
Normalized power 통신에서 energy와 power signal을 다룰 때 normalized power라는 개념을 사용한다. 이에 대한 설명을 해보겠다. 우선 순간 전력(Instantaneous power) $P(t)$를 구하는 식은 (1)과 같다. $P(t) = {v^2(t)} / R = i^2(t)R$ 통신에서는 수식을 간단히 표현하기 위해서, $R=1Ω$으로 가정한 전력인 normalized power를 사용해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. 하지만 실제 상황에서 이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$R$의 값이 1이 아니기 때문에 denormalization을 해줘야 한다. $P(t) = v^2(t) = i^2(t) = x^2(t)$ (normalized power) Energy 에너지는 전력을 일정 ..

아날로그 신호(Analog signal) 시간에 대한 연속 함수로 모든 시간 $t$에 대해 unique한 값이 정의되어 있는 함수다. 이산 신호(Digital signal) 오직 discrete times에만 값이 존재하는 신호로 아래와 같은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. $x(kT)$, $k: interger, T: fixed time interval$ Reference Sklar, Bernard. Digital communications. Vol. 2. Upper Saddle River, NJ, USA:: Prentice hall, 2001.

주기 신호 (Periodic signal) x(t)가 완벽한 사이클 주기 $T_0$를 가지고 있는 신호 $x(t)=x(t+T_0)$, $for -\infty
Deterministic signal (결정 신호) Deterministic signal은 신호가 발생하기 전에 미리 그 신호 값을 알 수 있는(불확실성이 없다) 신호로써 아래의 식과 같이, 명확한 수학적 표현이 가능한 신호이다. $x(t)=5cos10t$ Random signal (불규칙(랜덤) 신호) Random signal은 신호가 실제로 발생하기 전에 미리 그 신호 값을 예측할 수 없는(불확실성) 신호이다. 따라서 명확한 수학적 표현이 불가능해 아래와 같은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. $x(n)=A cos(wn+ϕ)$ where $A$, $w$ or $ϕ$ are random variable 긴 기간 동안 신호를 관찰해 보면 확률이나 통계적 특징을 추정할 수 있다. Reference Sklar, B..

이 글에서는 디지털 통신이 전체적으로 어떠한 과정을 거치면서 진행되는지 "디지털 통신의 전체적인 과정 (Block diagram of typical digital communication system) (1)"에 이어서 간단히 설명한다. 모든 블록에 대한 설명이 있지 않을 수 있다. 디지털 통신의 전체적인 과정 (Block diagram of typical digital communication system) (1) 이 글에서는 디지털 통신이 전체적으로 어떠한 과정을 거치면서 진행되는지 간단히 설명한다. 모든 블록에 대한 설명이 있지 않을 수 있다. 그림 1은 전형적인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블록 다이 kjh-ai-blog.tistory.com transmitter에서 나온 신호는 channel을 거쳐서 ..

이 글에서는 디지털 통신이 전체적으로 어떠한 과정을 거치면서 진행되는지 간단히 설명한다. 모든 블록에 대한 설명이 있지 않을 수 있다. 그림 1은 전형적인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. 그림의 윗부분은 information source에서부터 transmitter까지의 과정을, 아랫부분은 receiver에서 information sink까지의 과정을 나타낸다. 진한 색깔로 칠해진 블록은 디지털 통신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 블록들이라고 생각하면 된다. 그럼 그림의 윗부분부터 설명을 진행하겠다. 1. Information source information source는 디지털 통신에서 통신을 통해 보낼 정보를 의미한다. 핸드폰 간의 통신에서는 문자 메시지, 통화 목소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...

이 글에서는 왜 통신에서 아날로그 방식보다 디지털 방식이 선호되는지에 대해 다루어본다. Two-state signal 디지털은 의미가 담겨있는 정보가 1과 0 두 가지 상태 중 하나로 저장되어 작동한다. 이로 인한 장점이 있는데, 통신 시 발생할 수 있는 방해(disturbance)가 1과 0의 상태를 바꿀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커야 오류가 발생하므로 디지털 통신이 아날로그 통신보다 왜곡(distortion)과 간섭(interference)으로부터 유리하다. 또한 1과 0으로 작동하는 two-state의 operation이 signal regeneration을 하기에 적합하고, regeneration을 일정한 구간을 두고 반복하기에 적합해 전송 시 노이즈(noise)와 다른 방해(disturbance)들..

지도학습(Supervised learning)이란? 지도 학습은 label이 지정된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는 머신러닝 접근 방식이다. label이 지정된 데이터 세트를 이용해 데이터를 분류하거나 결과를 정확하게 예측하도록 알고리즘을 설계한다. 인공지능 모델은 label이 있는 입력 및 출력을 사용하여 정확도를 측정하고 학습할 수 있다. 지도 학습은 회귀(Regression)와 분류(Classification)라는 두 가지 유형의 문제로 나눌 수 있다. 회귀 (Regression) 회귀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종속 변수와 독립 변수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지도 학습의 방법 중 하나이다. 회귀 모델은 특정 비즈니스에 대한 판매 수익 예측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 요소를 기반으로 숫자 값을 예측하는 데 유용하다. 회귀..